정보마당

oreo 작성일 25-04-16 조회1

기아의 북미 전략형

기아의 북미 전략형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텔루라이드’. [사진 제공 = 기아] 기아가 북미 전용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텔루라이드에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시스템 탑재를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회 충전 시 1000㎞ 이상 주행 가능한 최첨단 전기차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기아와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들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 해법으로 EREV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6일 기아 협력사 등에 따르면 기아는 여러 라인업 중에 북미 전용 플래그십 SUV인 텔루라이드 모델에 처음으로 EREV 시스템 탑재를 검토하고 있다.EREV는 한마디로 완전한 전기차에 가까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일반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엔진이 주 동력원, 배터리가 부 동력원의 역할을 한다면 EREV 시스템은 그 반대다. 대용량 배터리가 주된 동력 생산 역할을 맡되, 엔진은 동력 생산을 하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기 역할만 한다. 순수전기차의 경우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가 아직 500㎞ 남짓한 수준인데, EREV 시스템을 활용하면 1000㎞ 이상으로 주행 가능 거리가 늘어난다.현대차그룹은 그동안 현대차 싼타페, 제네시스 GV70 등 중형 SUV에 EREV 시스템을 탑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 텔루라이드는 이들보다 체급이 높은 준대형 SUV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차세대 순수하이브리드(HEV) 시스템 ‘TMED2’를 팰리세이드에 탑재하면서 준대형 SUV로 하이브리드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데, 텔루라이드 EREV 개발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기아 차종 중 북미 전략 차종을 골라 EREV를 개발하는 점 역시 눈길을 끈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지난해 8월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2026년 말 북미와 중국에서 EREV 양산을 시작한다”면서 EREV의 타깃 시장이 미국과 중국임을 밝힌 바 있다.준대형 SUV는 미국에서 인기가 많은 차급이지만, 대부분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최 부총리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증인 선서문을 정청래 법사위원장에게 제출한 뒤 악수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1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탄핵 청문회에서는 때아닌 휴대폰 교체 공방이 불거졌다. 12·3 불법 비상계엄 이후 최 부총리가 휴대전화를 변경한 사실이 드러나자 더불어민주당은 "증거 인멸"이라고 맹공을 퍼부었다. 이 과정에서 최 부총리의 위증 논란도 빚어졌다. 앞서 민주당이 밀어붙인 '최상목 탄핵 카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이날 탄핵 청문회도 본회의 표결을 미루기 위한 숨고르기 차원으로, 대선 레이스 와중에 탄핵 카드가 추가로 부상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는 관측이다. 이날 법사위에서 열린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 탄핵소추사건 조사' 청문회에서는 최 부총리가 지난해 12월 7일 기존에 사용하던 휴대폰을 교체한 사실이 새롭게 공개됐다. 불법 비상계엄 직후로 6개월 만에 교체한 것이다. 최 부총리는 교체 여부를 묻는 질의에 처음에는 "없다"고 답했지만, 정청래 법사위원장이 통신사로부터 확보한 자료를 근거로 대며 압박하자 "핸드폰이 먹통이 돼서 지금 새 핸드폰을 쓰고 있다"며 "고장 난 핸드폰도 갖고 있다"고 해명했다. 최 부총리는 "오해를 불러일으켜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지만, 민주당 의원들은 "6개월 만에 먹통이 되느냐"며 증거 인멸 의혹이 의심된다고 몰아세웠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미임명 문제에 대한 집중포화도 쏟아졌다. 민주당 의원들은 "국회 몫의 마 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은 건 위헌이자 직무유기"라고 지적했으나, 최 부총리는 "(국무회의의) 많은 분들이 그런 식으로(임명을 보류하자) 하자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석우 법무부 차관은 "임명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혀 최 부총리와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비상입법기구 창설 및 예비비 지원 의혹과 관련해서도 최 부총리는 "내용을 파악하지 못했고 추후 논의한 적도 없다"며 이른바 내란 연루 의혹에 대해 선을 그었다. 민주당은 최 부총리의 '강달러 미국 국채 매입' 논란도 파고들었다. 경제 수장이 국내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질수록 수익이 나게 되는